박남숙 기자
parkns@alphabiz.co.kr | 2025-03-17 09:08:05
[알파경제=박남숙·김교식 기자] 금융감독원이 네이버페이증권과 증권사들 간 웹트레이딩시스템(WTS) 사업을 의도적으로 망가뜨린 것이 아니냐는 정황이 드러났다.
특히 중소형 증권사들이 수십년간 고착화한 증권사 순위를 바꿀 절호의 기회로 네이버증권 WTS 협업을 유력하게 검토했다는 사실 때문에 금감원 해당 규제에 심각한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냐는 지적도 등장했다.
17일 알파경제 취재를 종합하면 금감원은 네이버파이낸셜의 네이버페이증권(이하 네이버증권)과 미래에셋증권 등 증권사 6개가 추진하는 WTS 위탁업무를 허용하면서 두가지 중요한 제한 사항을 걸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 “금감원 요구로 네이버ID WTS 간편접속 불가”
금감원은 네이버페이증권에 제휴 증권사들이 가장 강력한 기능으로 꼽았던 자사 WTS 접속시 네이버ID로 통합 접속하는 기능을 제한했다.
네이버파이낸셜 측은 “네이버ID 통합 접속은 안되는 것은 사실이지만 네이버 인증서로 간편인증 접속하기 때문에 크게 달라질 것은 없다”고 해명했다.
네이버파이낸셜 등에 따르면 네이버증권은 애초 통합 접속으로 2천만명의 네이버증권 이용자가 제휴 증권사 WTS를 손쉽게 접근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해왔다.
하지만, 금감원의 요청으로 애초 메인이 아닌 부가 사항이었던 네이버 인증서를 통한 간편 접속만 가능하게 됐다.
익명을 요구한 네이버 관계자는 “네이버 인증서가 금융 인증 시장에 접근하기 힘든 한계를 극복한다는 차원에서 네이버 간편인증 접속을 접목했던 것으로 한다”고 말했다.
[ⓒ 알파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