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영 기자
kimmy@alphabiz.co.kr | 2025-06-19 09:09:26
[알파경제=김민영 기자] 스테이블코인 규제안이 미국 상원을 통과하면서 성장이 가속화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엊그제 미국 상원이 스테이블코인 규제 법안인 GENIUS Act (Guiding and Establishing National Innovation for U.S. Stablecoins)를 찬성 68, 반대 30으로 통과시켰다.
KB증권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 가족의 이해상충 문제(행정부 관료와 의원의 스테이블코인 발행 금지를 규정했지만, 대통령과 부통령은 제외했고, 트럼프 대통령 가족이 상당 부분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World Liberty Financial은 USD1이라는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기 시작), 금융안정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았고 소비자 보호도 약하다는 점, 그리고 자금세탁방지와 제재 준수 규정이 미비하다는 점, 지역은행의 예금 기반이 약해질 수 있다는 점 등이 반대 이유로 꼽혔다.
그러나 대선 과정에서 암호화폐 업계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은 트럼프 대통령이 이해상충 우려에도 불구하고 8월 휴회 전에 법안 서명을 원한다면서 스테이블코인 시장 활성화를 강력하게 추진했다.
일부 우려들을 낮추기 위한 조항들이 추가되면서 결국 최종 입법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평가다.
김일혁 KB증권 연구원은 "규제안이라고 불리지만, 과거 1990년대에 통신업 규제안이 나온 이후에 통신업이 급성장한 것처럼,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여서 산업을 부흥시키기 위한 목적을 갖고 있다"고 해석했다.
그래서 이번 법안에서는 자산 담보 규정(모든 스테이블코인이 현금이나 단기 미국채 같은 안전자산을 통해 1:1 비율로 담보되어야 한다)과 정기 공시 및 감사 의무화(월간 준비금 공시, 자금세탁방지 (AML) 준수, 500억 달러 이상의 자산을 가진 업체는 연간 감사보고서를 제출), 보유자의 준비금 자산 우선권 보장(스테이블코인 발행사가 파산하면 스테이블코인 보유자가 준비금 자산의 우선권을 가지도록 함) 등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스테이블코인 시장은 테더 (Tether, USDT)와 서클 (Circle, USDC)이 각각 약 66%와 28%를 점유하면서 양강 구도를 확보해 놓고 있다.
이번 규제안을 이미 준수하고 있는 서클의 성장세가 이미 테더보다 빠르게 나타나고 있다.
김일혁 연구원은 "스테이블코인은 결제, 송금, 자산관리, 예금 등의 시장에 진입해서 기존
시장을 보완하거나 대체할 전망"이라며 "가장 빠르게 대체할 수 있다고 여겨지는 시장은 결제로 비자나 마스터카드 같은 기존 결제망을 이용할 때에 비해 수수료가 낮은 스테이블코인의 침투가 빠르게 진행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결제 시장은 크게 오프라인 결제와 온라인 결제로 나뉘는데, 온라인 결제 시장을 대체하는 속도가 더 빠를 것으로 보인다.
온라인 쇼핑몰이나 디지털 구독 서비스, 디지털 콘텐츠 플랫폼 등은 이미 디지털 결제 시스템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코인베이스(Coinabse)는 온라인 거래에서 스테이블코인을 주요 결제 수단으로 만들기 위한 플랫폼을 출시했다.
온라인 쇼핑몰을 쉽게 구축할 수 있게 하는 전자상거래 플랫폼 회사 쇼피파이(Shopify)도 코인베이스(Coinbase)와 협력해서 자사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USDC로 결제할 수 있도록 했다.
대표 소매업체인 아마존과 월마트도 카드수수료를 낮추기 위해 스테이블코인 도입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POS 단말기나 NFC 기반 리더기의 비중이 높은 오프라인 결제 시스템은 실물 카드를 활용하는 경우가 많아서 대체하는 데에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일혁 연구원은 "그러나 소비자가 디지털 지갑을 간편하게 만들고 사용할 수 있는 킬러 앱이 나오고, 판매자에게는 QR 코드 기반의 리더기를 보급하면, 오프라인 결제를 대체하는 데에도 시간이 오래 걸리지 않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
결제 시장을 스테이블코인이 대체하면 가장 큰 타격을 입는 건 결제망을 가진 비자와 마스터카드로 꼽힌다.
환불 요청에 대응하는 체계를 갖추고 있고 신용카드 사용자에게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고 있는 결제 네트워크 회사들은 이런 강점을 강화하고 스테이블코인을 결제 네트워크에 포함시키려 하고 있다.
그러나 최소한 시장 일부는 뺏길 확률이 높다는 우려에 주가는 규제안 상원 통과 이후 크게 하락했다.
송금, 자산관리, 예금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던 금융회사들은 혁신 파괴의 대상이 되지 않기 위해 노력 중이란 분석이다.
[ⓒ 알파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