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택 기자
sitory0103@alphabiz.co.kr | 2025-07-30 08:47:01
[알파경제=김영택 기자] 국제해사기구(IMO)의 중기조치 발표 이후 국내 해운사들이 친환경 전환에 대한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해운업계는 분담금 상승 속도와 이미 시행 중인 유럽연합(EU)의 부과금, 그리고 국내 선사들의 낮은 친환경 전환 수준에 대한 우려를 표하고 있다.
30일 해운업계에 따르면 최근 국내 A해운사는 탄소 부과금 계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IMO가 지난 4월 선박의 연료 종류와 배출량에 따른 부과금 액수를 발표하면서, A사는 오는 2028년부터 매년 수백억 원의 부과금을 부담할 것으로 예상된다.
해운업계 관계자는 알파경제에 "(탄소세 부과와 관련) 총 연료 사용량과 연료 종류에 따라 부과금 계산식이 달라진다"며, "부과금을 정확히 측정하고 낮출 방법을 모색하느라 분주하다"고 말했다.
해양수산부는 지난 4월 IMO 중기조치 초안 승인 당시, 2023년 데이터를 기준으로 국내 선사들이 부담해야 할 부과금을 수천억 원 규모로 추산했으나, 구체적인 수치와 근거는 공개하지 않았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2028년 7000억 원 수준인 국내 선사 부과금은 2년 만에 1조4000억 원 수준으로 급증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EU는 이미 지난해부터 배출권거래제(EU ETS)를 시행했고, 올해부터는 '퓨얼EU 마리타임(Fuel EU Maritime)' 규제를 통해 탄소 비용을 본격적으로 부과하고 있다.
해운업계는 유럽을 기항하는 한국 국적 선박 약 173척이 부담해야 할 연간 탄소 비용을 올해 약 1700억 원 수준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 금액은 ▲2030년 약 2200억원 ▲2040년 5000억원 ▲2050년에는 1조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선사들의 친환경 선박 준비는 미흡한 상황이다.
한국해운협회에 따르면 현재 한국 선사들이 운영하는 전체 선대에서 친환경 선박 비중은 5.9%에 불과하다.
더욱이 현재 친환경 선박을 신규 발주해도 주요 조선소의 신조 슬롯이 이미 2028년 이후로 밀려 있어, 선박 건조에 평균 2~3년이 소요되는 점을 감안하면 실제 인도는 2030년 이후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업계의 설명이다.
[ⓒ 알파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