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소연 특파원
wsy0327@alphabiz.co.kr | 2024-11-13 08:48:10
[알파경제=(고베) 우소연 특파원] 트럼프 전 행정부 이후 보호무역주의 정책과 바이든 정부의 전기차(EV) 우대 정책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로 일본의 주요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미국에서의 로비 활동 비용을 크게 늘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13일 전했다.
미국 조사 사이트 '오픈 시크릿츠'의 데이터에 따르면, 도요타 자동차 혼다, 닛산 3사의 로비 활동비 합계는 오바마 정부 2기(2013~2016년)에 비해 트럼프 정부 시기(2017~2020년)에 연평균 25% 증가했다.
전체 기업 및 단체의 평균 증가율 8%를 크게 상회했다.
도요타의 경우, 2017~2020년 연평균 로비 비용이 약 646만 달러(약 9억 7000만 엔)로, 이전 4년 평균보다 32% 증가했고, 2019년에는 지난 20년 중 최고액인 711만 달러를 지출했다.
혼다는19%, 닛산은18% 증액했다. 바이든 정부 하에서도 이러한 추세는 지속되어, 2021~2023년 로비 비용은 오바마 정부 2기 대비 연평균 16% 높은 수준을 이어갔으며 2023년에는 도요타가 전년 대비 2%, 혼다가 16% 증액했다.
로비 활동 강화의 배경에는 트럼프 정부의 보호무역 정책과 바이든 정부의 EV 우대 정책이 있다.
관세와 환경 대응 차량에 대한 보조금은 차량 가격과 판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일본 자동차 업체들은 미국 내 고용 기여도와 자사 제품의 에너지 효율성을 강조하며 정책 결정자들의 이해를 구하고 있다.
[ⓒ 알파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