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택 기자
sitory0103@alphabiz.co.kr | 2025-05-12 08:38:00
[알파경제=김영택 기자] 국토교통부가 구글의 고정밀 지도 데이터 해외 반출 심사에서 안보를 이유로 9년 전과 같은 '전면 불허' 입장을 되풀이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국제 통상 흐름을 반영하지 못하고 과거 입장만 고수한다는 지적이다. 정부는 관계 부처 간 추가 논의를 이유로 반출 여부 심사 일정을 8월로 연기하기로 했다.
12일 국토부에 따르면 외교부, 국방부, 국정원 등 9개 관계 부처가 참여하는 '측량성과 국외반출 협의체'는 구글의 지도 데이터 국외 반출 요청 처리 시한을 8월 11일까지 연장하는 방안을 확정할 예정이다.
지도 데이터 반출 소관 부처인 국토부는 안보 위협을 이유로 허가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국토지리정보원은 2016년 민감 시설 블러(blur) 처리 방식으로 구글에 절충안을 제시했으나, 구글이 거부하며 협상이 결렬된 바 있다. <2025년 5월 10일자 [구글 지도 반출 대해부]①자율주행 등 미래산업 ‘황폐화’…기술 생태계 종속 우려도 참고기사>
이번에는 구글이 자체 블러 처리를 제안했으나, 국토부는 "국내 서버에서 직접 블러 처리를 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어 교착 상태가 반복되고 있다.
해외 주요국은 전면 차단보다 블러 처리를 통한 부분적 통제 방식으로 유연하게 대응하고 있다.
벨기에와 네덜란드 등은 군사 시설 등 주요 안보 시설에 대해 블러 처리를 요청하는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다.
지도 데이터 반출 문제는 9개 부처가 전원 합의해야 결론을 낼 수 있는데, 산업부 등은 해외 반출에 찬성하는 입장이어서 합의 도출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특히 미국과의 통상 협상에서 비관세 장벽 문제로 지도 반출 이슈가 거론될 수 있어 정부가 단기간 내 명확한 결론을 내리기는 더욱 어려워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2025년 5월 10일자 [구글 지도 반출 대해부]②”美 정부 관할 아래 놓일 수도”…안보·주권 침해 논란 참고기사>
[ⓒ 알파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