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택 기자
sitory0103@alphabiz.co.kr | 2024-09-19 08:43:24
[알파경제=김영택 기자] "주 1회 마트에서 물을 구매하는 게 일이다. 코웨이 정수기를 설치한 뒤 물의 무게에서 해방됐다"_조호바루 A씨
“말레이시아에서 샤워기와 정수기는 필수 제품으로 코웨이 정수기를 통해 믿을 수 있는 깨끗한 물을 마실 수 있다”_쿠알라룸푸르 B씨
말레이시아에서 한국 기업 코웨이가 정수기 시장을 석권하며 해외 진출의 성공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지난 2007년 말레이시아에 진출한 코웨이는 현지 시장에 혁신적인 서비스를 도입해 급속한 성장을 이뤄냈다.
◇ 말레이시아 렌탈 시장이 연간 약 10% 수준의 성장률
코웨이는 2007년 말레이시아에 최초로 렌탈서비스와 코디서비스를 선보였다. 당시 말레이시아 정수기 시장에서는 정기적인 제품 관리 서비스 개념이 부재했다.
대부분의 현지 정수기 업체들은 관리 서비스 없이 소비자가 직접 필터를 교체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코웨이가 도입한 주기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코디시스템은 현지 소비자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
말레이시아 조호바루에 거주 중인 한 교민은 “말레이시아는 수돗물을 식수나, 세탁수로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면서 “자체 정수시스템이 있지만, 식수의 경우 대부분 마트에서 구매해 먹는데, 무게가 만만찮다. 한국인들을 중심으로 정수기 사용이 급속도로 퍼지면서 말레이시아 현지인들에게도 큰 관심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 ‘성공적인 현지화 전략’…말레이시아 정수기 시장점유율 1위 달성
코웨이의 성공 요인으로는 '성공적인 현지화 전략'이 꼽힌다.
▲2007년 렌탈서비스 도입을 시작으로 ▲2010년 정수기 최초 할랄 인증 획득 ▲2015년 말레이시아인 코디 대폭 확충 ▲2017년 코웨이 런 마라톤 대회 개최 ▲2018년 공항 내 PURE ZONE 운영 등 다양한 현지화 전략을 펼쳤다.
이런 노력의 결과, 코웨이는 현재 말레이시아 정수기 시장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일반인의 인지도가 90%를 넘어서면서 정수기의 대명사로 자리잡았다. 말레이시아의 정수기 보급률이 약 25%, 공기청정기 보급률이 약 10% 수준임을 감안할 때, 코웨이의 렌탈 시장은 앞으로도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된다.
말레이시아의 상수도 인프라가 상대적으로 낙후되어 수돗물 품질이 좋지 않다는 점도 정수기 수요 증가에 기여하고 있다.
이런 시장 환경 속에서 코웨이는 한국과 동일한 수준의 높은 서비스 시스템을 도입해 현지 소비자들의 니즈를 충족시키며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코웨이 정수기를 사용하는 일본인 한 소비자는 “한국 엄마들 사이에서 입소문을 타면서 추천을 받아 사용하고 있다”면서 “10년전만 해도 말레이에서 한국 정수기 사용 가구는 흔치 않았지만, 지난 6~7년전부터 다양한 기능의 정수기 렌탈 서비스가 활성화 되면서 이용하는 가구가 증가한 것 같다”고 설명했다.
[ⓒ 알파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