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용납할 수 없는 잘못 깊이 반성"…백종원, 결국 사과했지만 논란은 계속

제품과 마케팅 사이 괴리…소비자 기만 논란
연이은 법규 위반과 지역 상권 갈등…쌓이는 신뢰 위기

이준현 기자

wtcloud83@alphabiz.co.kr | 2025-03-17 08:25:26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이준현 기자]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가 연이은 품질 조작과 법규 위반 의혹에 형식적 사과로 일관하며 소비자 기만 행위가 도를 넘었다는 비판이 거세다.

한때 '외식업계 혁신가'로 칭송받던 백 대표의 기업은 상장 5개월 만에 공모가 이하로 주저앉았고, 브랜드 가치는 바닥을 쳤다.

◇ 제품과 마케팅 사이 괴리…소비자 기만 논란

설 명절을 앞두고 출시된 '빽햄 선물세트'가 첫 논란의 시작이었다.

백 대표는 자신의 유튜브를 통해 "100% 한돈으로 품질 좋은데 가격도 착하다"며 홍보했지만, 실상은 달랐다.

정가 5만1900원에서 45% 할인해 2만8500원에 판매했다는 이 제품은 경쟁사 스팸(1만8500원~2만4000원)보다 최대 1만원 이상 비쌌다.

더욱 충격적인 것은 스팸(91.3%)보다 돼지고기 함량이 오히려 적은 85.4%에 불과했다.

소비자들의 거센 항의에 백 대표는 "생산 비용이 높다"고 변명했고, 이는 "비싼 값에 질 낮은 제품을 팔았다"는 비난을 자초했다.

논란이 계속되자 더본코리아는 자사 공식 온라인몰에서 '빽햄' 제품을 제외했다.

이어진 '감귤오름' 맥주 파문은 백 대표의 위선을 여실히 보여줬다.

'제주 감귤 농가와 상생한다'는 화려한 포장 속에 숨겨진 실체는 채 0.1%도 안 되는 감귤 함량(0.032%)이었다.

이는 500ml 기준 감귤 1개로 무려 750캔을 생산할 수 있는 희박한 수준이다. '맛과 품질을 고려했다'는 변명은 소비자들에게 "농가 상생은 그저 마케팅 구호에 불과했냐"는 배신감만 안겼다.

소비자 단체는 "제품 자체보다 마케팅이 앞서는 기업 행태가 문제의 본질"이라고 지적한다.

백종원이라는 개인 브랜드를 앞세워 소비자 신뢰를 얻어왔던 더본코리아가 정작 그 신뢰를 스스로 무너뜨리는 셈이다.
 

(사진=유튜브 캡처)


◇ 연이은 법규 위반과 지역 상권 갈등…쌓이는 신뢰 위기

더본코리아의 행태는 단순한 품질 논란을 넘어 다수의 법규 위반 사례로 확대됐다

지난 12일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은 더본코리아를 원산지표시법 위반 혐의로 전격 형사 입건했다.

'백석된장'과 '한신포차 낙지볶음' 제품에 버젓이 국산 표기를 해놓고 수입산 원료를 사용한 것이 적발된 것이다.

충남 예산군 소재 백석공장은 적발된 불법 사항이 끝없이 이어졌다.

농업진흥구역에 위치해 국내산 원료만 사용해야 하는 의무를 알면서도 중국산 개량 메주와 수입산 대두를 버젓이 사용했다.

이는 5년 이하 징역이나 5000만 원 이하 벌금에 해당하는 중대 범법 행위다.

여기에 비닐하우스를 무단으로 창고 용도로 전용한 건축법 위반, LP 가스통을 실내에 두고 요리하는 안전 불감증까지 드러났다.

이는 상장 직전인 지난해 10월 기자간담회에서 "이 나이에 사고 칠 게 뭐냐, 미디어에 노출된 지 10년이 넘었지만 아무 문제 없었다"던 백 대표의 호언장담을 무색케 했다.

최근에는 식품위생법 위반 의혹까지 불거졌다.

외식업계에 따르면 지난 2023년 11월 홍성 글로벌 바비큐 페스티벌에서 더본코리아가 식품에 사용해선 안 되는 도구를 사용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백 대표의 유튜브 채널에 공개된 축제 영상에서 더본코리아 직원으로 추정되는 사람이 농약 분무기로 사과주스를 살포했고, 바비큐 그릴은 공사장 자재용으로 보인다는 내용이다.

더본코리아는 즉각 입장문을 내고 "식품위생법 기준을 준수했다"면서도 "모든 내용에 대해 면밀히 다시 보고 개선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농약 분무기 사용에 대해서는 "현행법적 규제 사항은 없는 것으로 확인했으나, 관할 부서와 협의한 결과 가급적 사용하지 않는 것을 권장한다는 안내를 받아, 사용하지 않을 예정"이라고 해명했다.

지역 상인과의 갈등도 더본코리아의 이미지에 타격을 입혔다.

2023년 예산시장 활성화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백 대표는 유튜브를 통해 시장 건너편 사과파이 가게의 가격 정책을 공개적으로 비판한 뒤, 도로 2분 거리에 동종 업체를 개설하도록 컨설팅했다.

신규 점포의 사과파이 가격(2500원)이 기존 가게(3300원)보다 24% 낮게 책정되면서 보복 출점 의혹과 함께 지역 상권 교란 논란이 일었다.

특히 월세 10만 원이던 상가는 월세 160만 원까지 치솟기도 했다.

이에 지역 상생을 강조하던 기업이 오히려 지역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비판도 커졌다.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가 28일 오후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더본코리아 IPO 기자간담회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백종원 "용납할 수 없는 잘못 깊이 반성"

결국 지난 13일 백종원 대표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더본코리아와 관련된 여러 이슈로 인해 많은 분께 심려를 끼쳐드려 깊은 책임감을 느끼며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는 입장을 발표했다.

그는 "특히 생산과 유통 과정에서 발생한 용납할 수 없는 잘못들에 대해 깊이 반성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법적 사항을 포함한 모든 내용에 대해 신속히 개선할 것을 약속드린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 사과문은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제시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노출했다.

무엇보다 '상장사로서 주주 여러분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전사적인 혁신과 성장을 이끌어가겠다'는 표현이 반복적으로 사용되면서, 주주 이익을 최우선시하는 태도로 비춰져 오히려 비판의 대상이 됐다.

전문가들은 더본코리아의 위기가 단순한 실수가 아닌 구조적 문제에서 비롯됐다고 지적한다.

빠른 성장 과정에서 내부 통제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으며, 백종원이라는 개인 브랜드에 과도하게 의존한 경영 전략의 한계가 드러났다는 분석이다.

 

[ⓒ 알파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