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층] 키움증권, 사상 최대 분기이익에도 잡음 여전

◇1분기 연결 순익 2915억원...사상 최대 실적
◇불매운동·집단소송…브로커리지 점유율 지켜낼까
◇CFD 관련 미수채권 등 직접적 손해 불가피

임유진

qrqr@alphabiz.co.kr | 2023-05-10 08:09:47

[알파경제=임유진 기자] 키움증권 1분기 실적이 시장 예상을 큰 폭으로 상회하며 역대 최대 분기 실적을 기록했다.


키움증권의 주가는 최근 각종 이슈로 부진한 흐름을 보였다. 특히 소시에테제네랄(SG)증권발 주가 폭락 사태에 김익래 전 다우키움그룹 회장이 연루됐다는 의혹이 커지면서 차액결제거래(CFD) 관련 이슈, 초대형IB 인가 지연 이슈 등에서 자유롭지 못한 상황이다.

이에 분기 사상 최대 이익 시현에도 불구하고 향후 실적 전망이 밝을 수만은 없다.
 

키움증권. (사진=키움증권)

 

◇ 1분기 연결 순익 2915억원...사상 최대 실적

1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키움증권 2023년 1분기 순이익은 2915억원으로 시장 예상치를 54% 상회하며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이같은 호실적은 예상을 상회한 운용손익 실적 덕분이다.

증권 운용손익은 1438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1415억원 증가했다. 우리금융지주 배당금수익 265억원을 포함해 배당금 및 분배금 수익이 469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를 제외한 순수 운용손익도 969억원을 기록했다.

위탁매매 수수료는 1638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14% 증가했다. 국내주식 수수료는 증시 호황과 개인 위주장세에 따른 점유율 상승으로 813억원을 기록했다. 다만 해외주식이나 파생상품 위탁매매 수수료가 국내주식 대비 다소 부진했다.

이자손익은 1717억원으로 전 분기와 동일했다. 운용 및 조달 비용률 급변에도 불구하고 신용공여 수익이 773억원으로 증가해 손익을 방어했다.

반면 IB 및 기타수수료수익은 24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6.3% 감소했다. 부동산금융 부진의 영향이다.

증권 외에 투자조합 및 펀드 부문 영업이익이 자본시장 호조에 따라 280억원을 기록했고, 저축은행의 경우 충당금전입액 증가 영향으로 46억원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강승건 KB증권 연구원은 "대규모 채권평가이익으로 트레이딩 손익이 전년 동기 대비 1527% 증가했고, 약정점유율 상승과 견조한 파생·해외주식 수수료로 인하여 경쟁사 대비 우수한 브로커리지 수수료 수익을 시현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김익래 다우키움그룹 회장이 4일 오후 서울 여의도 키움증권 본사에서 최근 발생한 외국계 증권사 소시에테제네랄(SG)증권발 주가 폭락 사태와 관련해 기자회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불매운동·집단소송…브로커리지 점유율 지켜낼까


키움증권의 이익 기반은 브로커리지다. 18년 연속 국내 주식 위탁매매 시장점유율 1위 자리를 유지하고 있다.

키움증권의 지난해 말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키움증권의 해외 주식 시장점유율은 35.4%, 국내 주식 시장점유율 19.6%이다.

하지만 최근 키움증권이 SG증권과 CFD 계약을 체결한 국내 증권사 중 한 곳으로 밝혀진 데다, 김익래 전 회장의 연루 의혹까지 불거지면서 불매운동에 집단소송 움직임까지 나오는 상황이라 점유율 유지에 비상이 걸렸다.

전배승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평판 리스크가 확대될 경우 독보적인 리테일 점유율 유지에 부정적 영향을 줄 여지가 있다"며 "성장성이 높은 해외주식의 경우 경쟁심화로 인해 이미 점유율이 주춤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황현순 키움증권 사장이 28일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금융감독원 주최로 열린 증권업계 사장단 간담회에서 '김익래 회장'의 주가조작 배후설을 부인했다. (사진=연합뉴스)

 

◇ CFD 관련 미수채권 등 직접적 손해 불가피

당장 최근 문제가 된 8개 종목의 CFD 익스포저가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는 우려와 감독당국의 CFD 관련 검사, 이에 따른 초대형IB 인가 지연 가능성도 우려 요인으로 꼽힌다.

강승건 연구원은 "리테일 채널에의 높은 약정 점유율로 최근 문제가 된 8개 종목의 CFD 익스포저가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는 우려가 있지만 CFD 관련 최종 손실 규모는 아직 유동적"이라며 "미수채권 회수 규모에 따라 인식될 손실 규모가 달라지며 6월 말 기준 미수채권 규모는 2분기 실적에 반영된 후 확인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했다.

다만 주가는 관련 악재를 이미 반영했고, 현 이슈가 수조원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우려보다는 적을 것이란 평가도 나온다.

윤유동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키움증권 1분기 PF 잔액은 약 8000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감소했다"며 "분기 2000억원대 수준 체력은 향후 미수채권 충당금 적립 및 손실 등도 감내 가능하다"고 말했다.

 

[ⓒ 알파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