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소연 특파원
wsy0327@alphabiz.co.kr | 2025-06-11 08:27:04
[알파경제=(고베) 우소연 특파원] 도요타 자동차와 독일 다임러 트럭이 히노자동차(7205 JP)와 미쓰비시 후소 트럭·버스의 경영 통합에 최종 합의하며, 상용차 시장의 지각 변동을 예고했다.
차세대 기술의 빠른 실용화가 상용차 업계의 미래를 좌우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이번 통합이 탈탄소 시대에 발맞춘 경쟁력 강화로 이어질지 주목된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11일 전했다.
히노자동차의 한 간부는 "드디어 스타트라인에 설 수 있게 됐다"며 안도감을 표했다.
이는 2022년 불거진 엔진 배기가스 및 연비 시험 부정 문제와 관련, 지난 1월 미국 당국과의 합의에 이어 민사 법원의 승인까지 마무리된 데 따른 것이다.
다임러 측은 그간 형사·민사 양면에서 부정 문제가 완전히 해결되지 않으면 최종 합의에 응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해왔다.
당초 5월 중순 합의 발표를 목표했으나, 문제 해결 지연으로 연기됐다. 2026년 4월 지주회사 상장을 위해서는 6월까지 최종 합의가 필요한 상황이었다.
도요타 역시 그룹 재편에 속도를 내고자 했기에, 이번 합의는 양측 모두에게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부정 문제 해결과 다임러의 승인으로 4사는 마침내 최종 합의에 도달했다.
히노자동차는 부정 문제로 재무 기반이 악화된 상황이지만, 4사는 탈탄소 대응에 대한 절박한 위기감을 공유하며 경영 통합을 추진해왔다.
유럽연합(EU)은 대형 트럭·트레일러의 신차 이산화탄소(CO2) 배출량을 2030년까지 2019년 대비 45% 감축하는 목표를 설정했다.
2040년에는 90% 감축이라는 더욱 엄격한 목표가 부과된다. 목표 미달 시 제조사에는 벌금이 부과된다.
다임러는 상용차 수요 감소로 2025~2030년 유럽에서 연간 10억 유로(약 1650억 엔)의 비용 절감을 추진하고 있다.
전동화 대응이 불가피하지만, 관련 비용을 억제해야 하는 어려운 상황에 놓여있다.
다임러의 2024년 트럭 판매량은 46만 대로 전년 대비 12% 감소했으며, 전동 트럭·버스는 17% 증가했지만 판매량은 4000대에 그쳐 전체의 1%에도 미치지 못한다.
도요타 역시 상용차 시장의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사토 츠네지 사장은 "히노자동차를 지지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토로하기도 했다.
승용차와 상용차는 차의 성질과 시장 동향이 달라 시너지 효과를 내기 어렵고, 차량 인증 과정에서도 도요타의 노하우를 활용하지 못해 부정 사태로 이어졌다.
히노자동차는 배기가스 부정 사태 이후 일부 엔진의 형식 지정을 아직 재취득하지 못하고 있으며, 일부 차종의 출하 재개를 포기하기도 했다.
엔진 개발 지연 속에서 EV나 연료전지차(FCV) 개발에 단독으로 대규모 투자를 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히노자동차는 "혼자서는 힘이 부족하다"는 것을 자각하고, 오랫동안 협력 상대를 물색해왔다.
2018년부터 독일 폭스바겐 산하 트레이튼과 5년간 협업했지만, 뚜렷한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자국내 최대 이스즈 자동차는 이미 스웨덴 볼보와 협력 관계를 구축한 상황이었다.
결국 도요타와 다임러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지며 이번 통합이 성사됐다. 도요타의 지주회사 의결권 비율은 19.9%가 되며, 새로운 회사는 도요타의 지분법 적용 회사에서 제외된다.
2001년 도요타 연결 자회사가 된 히노자동차와의 관계는 다소 소원해지지만, 실리를 우선으로 재편을 서두른 것으로 풀이된다.
경쟁 환경은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중국 업체와 테슬라가 상용차 시장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중국 제조사들은 중대형 트럭 세계 판매 상위 10개사 중 4곳을 차지하며, 저렴한 배터리 가격을 앞세워 EV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테슬라는 대형 트럭 '세미' 양산 공장을 건설하고 2026년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상용차는 승용차에 비해 모델 변경 주기가 길어, 대형 트럭의 경우 15년이 넘는 경우도 있다.
다임러가 목표로 하는 2039년까지 시간이 충분해 보이지만, 차량의 신규 개발 횟수는 제한적이다. 환경 규제에 대응해야 하는 '시간'은 얼마 남지 않았다.
새로운 회사의 출범은 당초 계획보다 2년 지연된 상황이다. 투자를 집중해 차세대 기술을 조기에 실용화할 수 있을지, 일·유럽 연합의 역량이 시험대에 올랐다.
[ⓒ 알파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