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효 기자
kei1000@alphabiz.co.kr | 2023-03-02 07:50:24
[알파경제=김종효 기자] SK쉴더스의 최대주주가 스웨덴 발렌베리 계열의 사모펀드 운용사 EQT인프라스트럭처(이하 EQT)로 바뀐다. 기존 최대 주주이던 투자전문회사 SK스퀘어가 지분 절반가량을 매각한다.
손석우 건국대학교 겸임교수는 “SK쉴더스 상장 실패 당시 억지로 끌어올린 무리한 몸값은 계속 문제였다”면서 “무리한 몸값보다 더 큰 고민은 쪼개기 상장 논란에서 오는 후폭풍이었기에 매각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 SK쉴더스 IPO 예견된 실패..무리한 몸값 끌어올리기
SK쉴더스가 IPO 포기 전 제출한 증권신고서에 따르면, 회사 측이 제시한 공모가 범위(밴드)는 3만 1000~3만 8800원이다. 상단을 기준으로 계산한 시가총액이 3조 5052억 원이다.
윤주호 엄브렐라리서치 대표는 “국내 기업 중 사업 모델이 가장 유사한 1위 기업 에스원의 시가총액이 지난달 말 종가 기준으로 2조 1천억 원가량에 불과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SK쉴더스의 몸값은 매우 고평가 됐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SK쉴더스는 미국 퀄리스와 알람닷컴 등 5개사를 비교기업으로 고른 뒤 이들의 기업가치 대비 상각 전 영업이익에 가중치 적용한 평균치 16.13배를 자사 몸값에 대입했다.
SK쉴더스는 평가 시가총액을 4조7000억 원으로 산정했고, 할인율 25.45~40.43% 적용해 최종 공모가를 결정한 바 있다.
◇ 박정호, SK쉴더스 매각 성공 자화자찬?..쪼개기 상장 논란 더 부담
박정호 부회장은 지난달 28일(현지시간) MWC에서 “이번 투자 유치로 국내 기술시장에 대한 외국 투자자의 신뢰를 끌어냈다”며 “SK쉴더스의 기업공개(IPO)를 철회해서 아쉬웠는데, IPO보다 더 높은 가격으로 외국 자본을 투자받았다”고 자화자찬했다.
박정호 부회장이 이끄는 투자전문회사 SK스퀘어는 원스토어는 물론 11번가와 티맵모빌리티 등 여러 개 자회사의 상장을 계획하고 있다.
이충헌 밸류파인더 대표는 “SK쉴더스와 원스토어 상장 심사 당시 예상보다 훨씬 늦게 승인됐는데 쪼개기 상장에 대한 정부의 부정적인 시각이 상장 심사 기간을 연장시킨 요인이었다는 것이 중론”이라고 말했다.
당시 SK쉴더스는 상장 예비심사를 청구해 3개월 동안 심사를 받았고, 원스토어는 약 4개월 만에 관문을 통과했다. 상장 예비심사 청구에서 승인까지 통상 45 영업일이 소요된다.
종합해 보면 박정호 부회장의 투자유치 자화자찬과 달리 알짜배기 SK스퀘어는 쪼개기 상장을 포기하고 SK쉴더스 매각으로 논란을 피한 것으로 읽힌다.
[ⓒ 알파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