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영 기자
kimmy@alphabiz.co.kr | 2023-08-28 07:29:19
[알파경제=김민영 기자] 미국 최대 뷰티 전문 유통 업체로 울타뷰티(ULTA)의 2분기 실적이 우려에도 불구하고 시장 예상치에 부합했다.
울타뷰티의 2분기(5월~7월) 매출은 25.3억달러로 전년 대비 10.1% 증가했고, GAAP EPS는 6.02달러로 5.6% 늘어 매출은 시장기대치에 부합했고, EPS는 시장 기대치를 2.3% 상회했다. 2분기의 기존점 신장은 8.0%로 지난 분기 9.3%보다는 소폭 둔화되었지만, 회사의 예상보다는 양호한 수치라는 평가다.
울타뷰티는 예상보다 양호한 기존점 추세를 반영하여 올해 가이던스를 소폭 상향했다.
김명주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 소비자의 중고가 화장품 구매 수요가 감소하고 있어 판매가 인상 효과에도 불구하고, 지난 1분기 울타뷰티의 객단가는 전년동기대비 감소했다"며 "2분기에도 객단가 하락 추세가 이어진 점은 아쉽다"고 판단했다.
김명주 연구원은 "최근 미국 소비자의 중저가 화장품에 대한 선호가 높아지면서 화장품 시장에서 아마존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며 "이는 오프라인 매출 비중이 높은 울타뷰티에 부정적"이라고 판단했다.
한위 NH투자증권 연구원도 "중국 매출 익스포저가 없다는 점은 긍정적이나 고금리 환경 속에서 미국 소비자의 재량 지출 관련 노이즈가 재차 불거질 가능성이 있고 9월 학자금 대출상환 재개도 예정되어 있는 만큼 뷰티 제품 수요 확장을 기대하기 어려운 환경"이라며 "최근 동사를 포함해 다수의 유통 업체에서 도난으로 인한 재고손실(inventory shrink)이 늘어나고 있는 점도 부담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도난 방지를 위한 투자로 마진 압박 심화 가능성을 염두에 둘 시점이라는 조언이다.
[ⓒ 알파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