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택 기자
sitory0103@alphabiz.co.kr | 2024-08-18 10:15:16
[알파경제=김영택 기자] 티몬과 위메프 사태가 일파만파 커지면서 정부의 안일한 대처가 도마 위에 올랐다.
무엇보다 공정거래위원회와 금융감독원 등 관계 당국은 대금 정산 기간에 대한 거짓 답변은 물론 권한의 한계 및 법적 제재 근거 부족 등을 이유로 사실상 티메프 사태를 키운 것 아니냐는 비판이다.
◇ 위성 플랫폼 미정산금 누락 가능성도…피해규모 커질 듯
최근 한 언론매체는 정부가 집계한 티몬·위메프 미정산 금액이 애초 정부 추산치 보다 훨씬 높은 2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단독 보도했다.
금융감독원에서 추산한 미정산액에 위메프플러스와 티몬월드 등 티메프 법인에서 발생한 미정산액이 누락되면서 피해 계산액이 턱없이 축소됐다는 지적이다.
티메프 한 피해자는 인터뷰에서 “위메프플러스 금액이 누락돼 있는 것 같다”면서 “약 1200~1300만원 정도로 피해 금액이 산정이 정확히 이뤄진 뒤 대책이 나와야 한다”고 설명했다.
현재 위메프의 경우 6만명 정도가 위성 플랫폼인 위메프플러스를 통해 상품을 판매하고 있다. 단순 계산시 1인당 1000만원만 잡아도 6000억원에 달한다.
지난 5월까지 미정산액도 제대로 파악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6월·7월 판매분도 정산 주기가 돌아온다는 점에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일각에서는 금융당국 등이 피해 규모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상태에서 대책을 내놓는 사후약방문은 그만둬야 한다고 비판하고 있다.
실제로 이강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언론 인터뷰를 통해 “금융당국이 말하는 피해규모 2700억원은 지난 5월에 해당하는 금액”이라면서 “금감원이 피해규모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추산 없으면 제대로 된 구제가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 알파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